본문 바로가기

상생 페이백

주방의 악마 2025. 8. 28.

소비쿠폰에 이어 소비자들의 지갑은 두텁게 하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상생'의 의미를 담은 또 하나의 소비지원정책이다.

“상생페이백” 제도는 2025년 하반기 정부가 카드 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소비지원 정책입니다. 


상생페이백 핵심 안내

1. 신청 기간

  • 2025년 9월 15일 (월)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 (일) 자정까지 신청 가능
  • 첫 주(9.15~9.19)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 운영:
    • 9/15: 끝자리 5·0
    • 9/16: 6·1
    • 9/17: 7·2
    • 9/18: 8·3
    • 9/19: 9·4
    • 9/20 이후: 모두 신청 가능 
  • 오프라인 신청은 9월 15일부터 11월 28일 평일에 운영
  • 온라인: 상생페이백.kr 접속 → 본인 인증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가입 → 신청 진행 
  • 오프라인: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 중소벤처기업청, 은행 지점 등에서 지원받을 수 있음
  • 신청은 1회만 하면 9~11월 소비분 모두 자동 반영됨 

3. 환급 기준

  • (2025년 해당월 카드 사용액 –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 × 20%
  • 한도:
    • 월 최대 10만 원,
    • 총 3개월 최대 30만 원 
  • 환급 대상 제외 업종:
    •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명품·유흥업종, 대기업 직영 프랜차이즈, 세금·보험료 등 

4. 지급 방식 및 일정

  • 지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유효기간 5년, 전국 약 13만 개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지급일: 소비한 다음 달 매월 15일 지급
    • 9월 소비 → 10월 15일
    • 10월 소비 → 11월 15일
    • 11월 소비 → 12월 15일 

5. 추가 혜택: 상생소비복권

6. 사용기간 

  • 페이백상품권 유효 기간은 지급일로부터 5년간 

요약정리

항목내용
신청 기간 2025.9.15 09:00 ~ 11.30 24:00 (첫 주 5부제 적용)
신청 방법 상생페이백.kr, 또는 오프라인 지원처(전국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 지원센타, 지방 중소벤처기업청 ,국민 우리 농협 은행 
                                                          농축협 영업점)
환급 방식 (2025 소비액 – 2024 월평균) × 20%, 최대 월 10만 원, 총 30만 원
제외 업종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 유흥·명품 등
지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유효 5년), 매월 15일 지급
추가 혜택 상생소비복권 (응모권 5만 원당 1장, 최대 10장, 1등 2천만 원 등 당첨)

7. 상담안내 및 이의 신청 

  • (20일)부터 누리집(상생페이백. kr)을 통해 페이백 신청-지급-환수 등 단계별 궁금한 사항에 대한 답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전화상담실(콜센터(☎ 1533-2800))을 운영(09:00~18:00)하여 상담 안내를 하고, 9월 15일부터는 누리집에서 24시간 상담 서비스(챗봇)를 제공할 예정이다.
  • 온라인으로 이의신청이 어려운 분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방문하면 신청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사업 운영기간 동안 정부나 금융기관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를 우려해, 중기부·카드사·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상생페이백과 관련하여 인터넷주소(URL), 링크가 포함된 문자,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일절 발송하지 않을 예정이다.

요점 정리

  • 지금 9월 중 카드 소비가 늘어날 계획이 있다면 꼭 먼저 신청해 두세요.
  • 신청을 놓치면 이후에 소급 신청이 어려워 최대 30만 원 환급 혜택이 사라집니다.
  • **소상공인 중심 소비(전통시장, 동네 마트, 식당 등)**를 위주로 하시면 환급 대상 실적에 해당됩니다.
  • 앱 사용이 어려우면, 지역의 전통시장 상인회나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도움을 받아보시는 게 좋아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 건강보험요율  (5) 2025.09.02
청년 미래 적금  (3) 2025.09.01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11) 2025.08.27
2025년부터 바뀐 육아휴직  (2) 2025.08.26
출산휴가  (0) 2025.08.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