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8

주택담보대출 이자 상환액 소득공제 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액 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가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받은 대출의 이자 상환액에 대해 일정 금액을 소득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로, 2024년 귀속 연말정산부터는 기준시가 6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 최대 2,000만 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1. 공제 대상 주택 기준 확대기준시가(기준이 되는 공시가격) 상한이 5억 원에서 6억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2. 공제 한도 및 조건공제 한도는 대출 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상환기간 조건대출 조건연간 공제 한도10년 이상 ~ 15년 미만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분할상환600만 원15년 이상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분할상환1,800만 원15년 이상고정금리 + 비거치식 분할상환2,000만 원 (최대 한도)15년 이상기타 (예: 변동금리 또는 거치식 등)800.. 생활정보 2025. 9. 3.
2026년 건강보험요율 2026년 건강보험요율은 7.19%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2025년 7.09%에서 1.48% 인상된 수치입니다. 1. 인상 배경 및 주요 내용인상 결정 및 배경보건복지부는 2025년 8월 28일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에서 2026년도 건강보험료율을 7.19%로 의결했습니다. 2024년과 2025년 2년 연속 동결 이후 3년 만에 인상된 것으로, 인상률은 1.48%입니다. 인상 요인으로는 보험료율 동결과 경제 저성장, 지역·필수의료 강화 등 새 정부 국정과제 추진에 따른 지출 소요, 그리고 의료수가 인상 등이 꼽힙니다. 2. 의료수가2026년 의료수가는 평균 1.93% 인상되며, 이로 인해 건강보험 재정에 약 1조 3,948억 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합니다. 병원 2.0%, 의원 1.7%,.. 생활정보 2025. 9. 2.
청년 미래 적금 청년미래적금이란?1. 개요청년미래적금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세종시와 대구시 등 지자체별로 운영됩니다. 2. 대상 및 자격 조건연령: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일부 경우, 병역 이행자는 복무 기간만큼 연령 상향 가능)소득 요건: 다양한 기준이 논의 중입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또는 6,000만 원 이하로 언급되기도 하고, 최대 7,000만 원 이하까지 완화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세종시 : 19~39세 관내 근로 청년 중 중위소득 120% 이하 대상자. https://www.4242.or.kr/total_board/view/id/36792대구시 : 19~39세 대구 거주 근로자 중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소득 140% 이하. https://ww.. 생활정보 2025. 9. 1.
상생 페이백 소비쿠폰에 이어 소비자들의 지갑은 두텁게 하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상생'의 의미를 담은 또 하나의 소비지원정책이다.“상생페이백” 제도는 2025년 하반기 정부가 카드 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소비지원 정책입니다. 상생페이백 핵심 안내1. 신청 기간2025년 9월 15일 (월)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 (일) 자정까지 신청 가능 첫 주(9.15~9.19)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 운영:9/15: 끝자리 5·09/16: 6·19/17: 7·29/18: 8·39/19: 9·49/20 이후: 모두 신청 가능 오프라인 신청은 9월 15일부터 11월 28일 평일에 운영 온라인: 상생페이백.kr 접속 → 본인 인증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가입 → 신청 진행 오프라인: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 생활정보 2025. 8. 28.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1. 제도 개요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본인 또는 본인과 생계주거를 같이 하고 있는 가구 구성원이 주소득자 사망, 가출등으로 소득 상실, 중한 질병등 위기사유로 생계유지등이 어렵게 된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합니다 2. 지원 대상 요건(1) 위기사유1. 주소득자(主所得者)가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2.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3.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放任) 또는 유기(遺棄)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4. 가정폭력 또는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5.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한 경우6.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사업장의 화재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영업이 .. 생활정보 2025. 8. 27.
2025년부터 바뀐 육아휴직 2025년부터 육아 휴직 조건이 변동된다고 한다. 바뀌는 변동 사항에 대해 미리 알아 보고 체크해 두도록 해야겠다 출산휴가 다음 육아 휴직을 원할경우 미리 체크한후 신청서도 미리 작성해 제출하는 것이 더욱 좋을 것 같다. 2025년 육아휴직 제도 주요 변경사항1. 육아휴직 급여 대폭 인상 및 지급 방식 개편1~3개월: 통상임금의 100%, 상한 250만 원4~6개월: 통상임금의 100%, 상한 200만 원7개월 이후: 통상임금의 80%, 상한 160만 원기존에는 휴직 중 75%만 지급되고 25%는 복직 후 6개월 근무 시 지급되었지만, 2025년부터는 사후 지급금 제도가 폐지되고 급여는 100% 지급됩니다.2. 육아휴직 기간 연장기존에는 부모 각각 1년, 부부 합산 최대 2년이었지만,2025년부터는 부.. 생활정보 2025. 8. 26.
출산휴가 같이 일하는 직원이 이번에 임신으로 출산 휴가를 요청하게 되었다. 임신은 축하할 일이 지만 이것저것 챙겨야 할일이 산더미가 생겨 버렸다. 출산휴가 기간과 신청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자. ✅ 출산휴가 개요대상자: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휴가 기간:일반출산 : 총 90일 (출산 후 45일 이상은 보장되어야 함) 미숙아 출산: 100일(출산 후 최소 40일 ) 쌍둥이 출산 : 120일 (출산 후 최소 60일) 3.급여 및 지원최초 60일(쌍둥이 75일)은 유급휴가이며, 사업주가 통상임금 지급 마지막 30일(미숙아 40일, 쌍둥이 45일)은 정부 지원금 최대 월 210만원 최저임금 미달 시 시간급 최저임금 적용 분할 사용출산 전에도 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으나, 출산 후 45일(쌍둥이 60일) 이.. 생활정보 2025. 8. 25.
인감 증명서 인터넷 발급 하기 2024년 9월 30일부터 인감증명서도 이젠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해졌다.오늘은 인터넷으로 인감 증명서 발급 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우선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을 해야 한다. https://www.gov.kr/portal/main/nologin 정부서비스 | 정부24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www.gov.kr 회원가입이 되어 있으면 좋겠지만 비회원으로도 발급이 가능하니 굳이 회원 가입은 하지 않아도 된다.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감증명서 발급을 검색한다 인감증명서 발급 하기를 선택한 후 신청하기를 누른다. 약관동의를 다 .. 생활정보 2025.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