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1. 제도 개요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본인 또는 본인과 생계주거를 같이 하고 있는 가구 구성원이 주소득자 사망, 가출등으로 소득 상실, 중한 질병등 위기사유로 생계유지등이 어렵게 된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합니다 2. 지원 대상 요건(1) 위기사유1. 주소득자(主所得者)가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2.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3.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放任) 또는 유기(遺棄)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4. 가정폭력 또는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5.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한 경우6.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사업장의 화재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영업이 .. 생활정보 2025. 8. 27. 더보기 ›› 2025년부터 바뀐 육아휴직 2025년부터 육아 휴직 조건이 변동된다고 한다. 바뀌는 변동 사항에 대해 미리 알아 보고 체크해 두도록 해야겠다 출산휴가 다음 육아 휴직을 원할경우 미리 체크한후 신청서도 미리 작성해 제출하는 것이 더욱 좋을 것 같다. 2025년 육아휴직 제도 주요 변경사항1. 육아휴직 급여 대폭 인상 및 지급 방식 개편1~3개월: 통상임금의 100%, 상한 250만 원4~6개월: 통상임금의 100%, 상한 200만 원7개월 이후: 통상임금의 80%, 상한 160만 원기존에는 휴직 중 75%만 지급되고 25%는 복직 후 6개월 근무 시 지급되었지만, 2025년부터는 사후 지급금 제도가 폐지되고 급여는 100% 지급됩니다.2. 육아휴직 기간 연장기존에는 부모 각각 1년, 부부 합산 최대 2년이었지만,2025년부터는 부.. 생활정보 2025. 8. 26. 더보기 ›› 출산휴가 같이 일하는 직원이 이번에 임신으로 출산 휴가를 요청하게 되었다. 임신은 축하할 일이 지만 이것저것 챙겨야 할일이 산더미가 생겨 버렸다. 출산휴가 기간과 신청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자. ✅ 출산휴가 개요대상자: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휴가 기간:일반출산 : 총 90일 (출산 후 45일 이상은 보장되어야 함) 미숙아 출산: 100일(출산 후 최소 40일 ) 쌍둥이 출산 : 120일 (출산 후 최소 60일) 3.급여 및 지원최초 60일(쌍둥이 75일)은 유급휴가이며, 사업주가 통상임금 지급 마지막 30일(미숙아 40일, 쌍둥이 45일)은 정부 지원금 최대 월 210만원 최저임금 미달 시 시간급 최저임금 적용 분할 사용출산 전에도 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으나, 출산 후 45일(쌍둥이 60일) 이.. 생활정보 2025. 8. 25. 더보기 ›› 일산 킨텍스 2025 까사 가구박람회 일산 킨텍스 제1정시장에서 20205 까사 가구전시회가 있었습니다.평소 가구에 관심도 많고 혹시나 이쁜 쇼파가 있을까 싶어 겸사겸사 둘러 다녀왔답니다.https://www.kintex.com/ 킨텍스 3호 에서 전시 하고 있고요 혼수 가구 입주가구 로도 보러 오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오늘이 마지막 날이라 좀 아쉽기도 하네요 사전입장 신청하면 무료입장이 가능합니다.저는 사전입장으로 본인 확인만 하고 입장할 수 있었어요현장에서 일반 입장을 하시면 5,000원의 입장료가 있습니다.이 입장권이 있으면 재입장이 가능하다고 하시네요 마지막 날임에도 불구 하고 사람들이 많이 오셨더라고요 신혼부부들이 눈에 참 많이 띄었습니다. 신혼부부들이 알콩달콩 가구들을 상담받고 구경하고 있더라고요 참 어찌나 이뻐 보이던지 ㅋ.. 일상다반사 2025. 1. 12. 더보기 ›› 인감 증명서 인터넷 발급 하기 2024년 9월 30일부터 인감증명서도 이젠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해졌다.오늘은 인터넷으로 인감 증명서 발급 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우선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을 해야 한다. https://www.gov.kr/portal/main/nologin 정부서비스 | 정부24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www.gov.kr 회원가입이 되어 있으면 좋겠지만 비회원으로도 발급이 가능하니 굳이 회원 가입은 하지 않아도 된다.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감증명서 발급을 검색한다 인감증명서 발급 하기를 선택한 후 신청하기를 누른다. 약관동의를 다 .. 생활정보 2025. 1. 10. 더보기 ›› 이전 1 2 3 4 5 6 다음